분류 전체보기24 코페르니쿠스 중세의 천문학 476년 로마 제국의 멸망 후 유럽, 중동, 아시아 지역에 활동하던 천문학자들은 문화적으로 서로 격리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하지만 중세에 들어오면서 활발해진 국제 교역과 이슬람 문명의 확장에 힘입어 이들은 자기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관측 천문학이 크게 발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행성들의 합이나 충, 일식과 월식, 그리고 혜성의 출현 등을 집중적으로 관측했으며, 신성의 발견도 이때 이루어졌다. 중세 천문학자들 중 상당수는 대학에서 천문학을 가르치며 정식 보수를 받을 수 있었다. 이들은 여러 제약 속에서 괄목할 업적들을 많이 남겼다. 티무르 제국의 지배자였던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에 거대한 천문대를 만들고 천문학자들을 모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2022. 8. 25. 과학적 천문학 시작 과학적 사유의 씨앗 고대 그리스 세계는 그 전에서는 볼 수 없었던 수준의 정치적 그리고 지성적 자유를 누리면서 과학의 엄청난 발달을 가져왔다. 기원전 500년경부터 기원후 200년까지 700여 년 동안 그리스 철학자들은 천문현상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당시만 하더라도 사람들은 세상이 초월자의 의도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다. 현대인에게는 헛소리로 들리겠지만, 예를 들어 헤라클레이토스 같은 이는 별은 밤마다, 그리고 태양은 아침마다 누군가가 기름등잔에 불을 붙이기 때문에 반짝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플라톤이 기하학이 모든 진리의 근본이라고 주장함으로써, 당시 학계로 하여금 우주의 정확한 작동 원리를 알아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했다. 아리스토텔레스.. 2022. 8. 24. 천문학 (고대) 생명의 주기성 원시인들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상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 변화 속에 반복성이 숨어 있다는 사실에 매료됐을 것이다. 그들은 기온 변화, 해가 뜨고 지는 때와 장소의 변화, 달의 위상 변화, 식물의 성장, 동물 행동의 주기적 변화 등을 시간의 흐름에 대한 증거로 받아들였을 것이다. 세상에는 이러한 변화를 주재하는 신들이나 신령한 능력의 소유자들이 있다고 믿었을 것이다. 그러다가 수천 년 전쯤 우리는 최초의 천문학자들과 만나게 된다. 그들은 중동 지역에서 농사를 짓거나 가축을 키우던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계절 변화의 증후를 찾기 위해 밤하늘을 관측했다. 고대 이집트 인들은 파종과 수확의 시기를 천문관측에 의존해 결정했다. 그들은 태양이 뜨기 직전에 천랑성(시리우스)이 동쪽 하늘로 올라오면 나.. 2022. 8. 23. 망원경 망원경의 구조 망원경의 기능은 멀리 떨어진 천체에서 오는 빛을 모아 초점에 상을 맺게 하고, 이를 확대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볼록 렌즈를 사용하거나 오목 거울을 사용하는 것이다. 렌즈는 투과하는 빛을 굴절시켜 뒤쪽 임의의 위치에 있는 초점 쪽으로 모아 준다. 오목 거울은 입사된 빛을 안쪽으로 반사해서 거울 앞쪽 임의의 위치에 있는 초점으로 빛을 모은다. 렌즈나 거울 모두 평행한 광선만 한 점으로 모으는데, 다행히도 천체는 매우 멀리 있기 때문에 천체에서 오는 빛은 평행 광선이라고 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 일단 모여서 초점으로 들어온 빛은 초점을 통과하게 되면 다시 퍼져나가는데, 이 퍼져나가는 빛을 접안렌즈를 사용해 다시 평행 광선으로 바꿔 주고, 확대도 시킨다.. 2022. 8. 22.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