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 천문학 (육안, 쌍안경) 별 보기 준비 관측으로부터 많은 것을 얻으려면 약간의 준비가 필요하다. 사람 눈의 동공이 어두운 천체를 또렷하게 볼 수 있도록, 어둠에 적응하는 데 약 20분 정도가 소요된다. 별자리 판이나 월별 성도를 참조해 지금 어떤 천체가 하늘에 떠 있는지를 확인하라. 공책을 항상 준비해 두고, 관측 일지를 적을 수 있는 보고서 양식을 준비하라. 특히 유성과 같은 특별한 현상을 노린다면, 더욱더 이러한 준비가 필요하다. 만약에 어두운 천체를 관찰하고자 한다면 달이 밝아 어두운 천체가 달빛에 묻히는 날은 피하는 것이 좋다. 비록 달이 없는 맑은 날이라고 하더라도, 대기의 난류 현상이 관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기 현상의 영향을 받은 천체의 모습을 시상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해 질 무렵에 기온이 갑자기 내려가지.. 2022. 8. 21. 별 분포 별의 이름 짓기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들은 고대 바빌로니아, 이집트, 그리스 시대부터 내려온 오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시리우스는 그리스 어로 ‘난폭함’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체계적인 명명법은 1603년 요한 바이어가 처음 제시했다. 바이어는 한 별자리에 있는 24번째 별까지는 그리스 문자를 붙이고, 그다음부터는 로마자 소문자를 사용했다. 1701년 영국의 천문학자 존 플램스티드는 새로운 명명법을 제시했다. 그는 한 별자리의 별들을 적경을 기준으로 해서, 서쪽에서 동쪽으로 숫자로 번호를 붙였다. 그 후 별들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바이어의 명명법이나 플램스티드의 명명법에 따라 부여되었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수많은 별 목록이 만들어지고, 희미해서 보이지도 않던 별들과 이중성과 다중성이 .. 2022. 8. 20. 별의 운동 시차 이동 시차 이동은 관측자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가까이 있는 물체의 위치가 멀리 있는 물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겉보기 이동이다. 만약 동일한 가까운 항성의 사진을 6개월 간격을 지구가 태양에 대해 정반대의 위치에 왔을 때 찍는다면 가까운 별의 위치가 먼 배경 별의 위치에 대해 조금 이동됐음을 알 수 있다. 만약 이 이동의 크기를 측정하고 지구 공전 지름을 안다면, 삼각 함수를 이용해 그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시차 이동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최근까지도 정밀한 측정이 불가능해 지구에서 수백 광년 이내의 가까운 항성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공위성에 탑재한 관측 장비를 이용해, 훨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해졌다. 대표적인 인공위성이 히파르코스 .. 2022. 8. 20. 행성 운동 월식 달이 지구 주변을 공전하다 보면 때때로 지구 그림자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월식이라고 한다. 또는 달이 태양의 일부 혹은 전체를 가리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를 일식이라고 한다. 이러한 식 현상은 지구의 공전 궤도면에 대해 달의 공전 궤도면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매달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도 이러한 식 현상은 1년에 수회 발생한다. 월식은 비교적 빈번하게 관찰되는 현상으로 1년에 2~3회 반드시 보름에 일어난다. 월식은 세 가지 종류로 구분되는데 반영식은 지구의 반그림자에 달이 지나가게 되어 달이 원래의 밝기보다 조금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며, 부분 월식은 달의 일부만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가 부분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일컫는다. 마지막으로 개기 월식은 달 전체가 지구의 본 그림자.. 2022. 8. 20. 이전 1 2 3 4 5 6 다음